728x90
300x250

1. '의', '것' 빼기

'의'는 일본식 표현입니다. '의'와 '것'은 빼도 문장에 어색함이 없는 말이 대부분입니다.

필요없이 사용이 된 사족입니다.

예) 3명의 사람 -> 사람 3명
     그는 사랑했던 것이다 -> 그는 사랑했다 

 

2. '하고 있다', '하고 '할 수 있다' 안쓰기

'하고 있다', '할 수 있다'를 '한다'로 바꿀 수 있습니다. 문장이 더욱 간결하고 깔끔하게 됩니다.

예) 지금 준비하고 있다 -> 지금 준비한다 

 

3. 군더더기 표현 빼기

글은 쓰는게 아니라 빼야 합니다. 문법에 맞고, 문장에 군더더기가 없는 글이 좋은 글입니다.

부사, 형용사, 명사 등 빼도 말이 되면 어떤 거든 무조건 빼야 합니다.

예) 내 생애 최고의 책을 하나만 꼽으라고 한다면 '나의 라임 오렌지 나무'를 고르겠다 -> 내 인생 최고의 책은 '나의 라임 오렌지 나무'다

 

4. 헛 따옴표 빼기

따옴표는 크게 세가지 경우에 사용합니다. 강조, 혼잣말, 인용 문장 속 인용 문장. 나머지는 모두 헛 따옴표입니다.

1) 그는 '왕자병'에 걸렸다 (강조)
2) '이렇게 해도 괜찮을까' 그는 불안한 생각이 들었다 (혼잣말)
3) "박 사장이 내게 와서 '당신을 죽여달라'고 말했다" (인용 문장 속 인용 문장)

 

5. 소리내서 읽기

글을 다 쓰고 나면 자기가 쓴 글을 소리내서 읽어봅니다. 만약 어색한 곳이 있다면 자연스레 읽히는 단어나 문장으로 고치도록 합니다. 읽기 쉬운 글이어야 '말 맛'이 살아납니다.

 

6. '관한', '대한' 안 쓰기

'관한', '대한'은 영어 '어바웃(About)'을 번역한 어투입니다. 웬만하면 쓰지 않습니다.

예) 건강에 대한 문제는 인류에 대한 문제와 직결된다 -> 건강 문제는 인류 문제와 직결된다

 

7. 끊어 쓰기

글을 쓸 때 문장은 짧고 굻게 쓰는게 좋습니다. 문장이 길면 읽기 힘듭니다. 가장 좋은 글은 '리듬감'이 느껴지는 글입니다. 그러려면 강약 조절을 잘해야 합니다. 끊어 쓰기는 강약 조절의 기초입니다.

 

8. 형용사, 부사 안 쓰기

정말 필요한 때 아니면, 형용사나 부사는 쓰지 않습니다. 글쓰기에 사족입니다.

예) 너는 너무 예뻐 -> 너는 예뻐
     빨갛게 타오른 노을이 진다 -> 노을이 진다

 

9. 능동형 쓰기

피동은 당하고, 능동은 하는 것입니다. 글을 쓸 때 능동형을 씁니다. 문장이 깔끔해 집니다.

예) 여자친구 고백에 내 기분은 착잡해졌다 -> 여자친구 고백에 내 기분은 착잡했다

 

10. 주술 맞추기

주어와 술어 맞추기는 글쓰기 기본입니다. 굉장히 많은 사람이 주술 맞추기를 틀립니다. 주술 관계가 안 헷갈리려면 문장이 짧아야 합니다. 글을 쓸 때 끊어 써야합니다.

예) 전시된 작품은 주로 미술계에 발을 갓 내디딘 신진 작가들이다 -> 전시된 작품은 주로 미술계에 발을 갓 내디딘 신진 작가들 것이다

 

11. 접속사 안 쓰기

접속사는 문단과 문단, 문장과 문장 이음이 어색할 때 사용됩니다. 접속사가 많은 건, 논리가 부족한 글입니다.

부가 설명을 넣거나, 문장 위치를 바꿔야 합니다.

예) 달이 떴다. 그러나 기분이 좋았다 -> 달이 떻다. 사람들은 슬퍼했다. 머릿 속에 아내와 함께 봤던 달 그림자가 떠올랐다. 기분이 좋았다.

 

12. '~성', '~적' 안쓰기

'~성', '~적'은 일본식 표현입니다. 쓰지 않도록 합니다.

예) 조금 더 적극적으로 참여해 봐 -> 조금 더 적극 참여해 봐

 

13. 수식어는 수식 대상에 가깝게 놓기

수식어는 수식하는 대상에 가깝게 놓는게 좋습니다. 그래야 수식하는 대상이 무엇인지 헷갈리지 않습니다.

예) 영희의 옷에 대한 관심은 대단하다 (옷과 관심, 어느 걸 수식하는지 불분명합니다.)
    -> '옷에 대한 영희의 관심은 대단하다', 또는 '영희 옷에 대한 (세간의) 관심은 대단하다'로 고쳐야 합니다.

 

728x90
300x250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