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의 꿀팁] 초보운전, 주행 관련 꿀팁
운전을 할 때 가장 무서운 것은 다름 아닌 사고입니다.
사고라는 것이 아무리 조심한다고 해고 날 수 있고, 나 혼자 조심한다고 안나는 것도 아닙니다.
그래도 나부터 방어 운전을 하고 조심을 한다면 사고 확률을 최소한으로 줄이는 방안은 되겠죠.
사고의 대부분은 보통 차선을 변경할 때 많이 발생을 하게 됩니다.
차선 변경 없이 그냥 직진으로만 쭈욱 달리는 경우에는 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낮습니다.
그래서 주행시 안전하게 차선을 변경할 수 있으면 사고에 대해서 너무 무서워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주행 시 주의해야 할 사항들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빈 공간이 없으면 절대 차선 변경을 시도하지 말 것
사이드 미러로 봤을 때 옆 차선이 비어있다고 느낄 정도일 때 차선 변경을 시도해야 합니다.
아니면 옆차선의 뒤차가 사이드 미러에서도 충분히 아주 멀리 있다고 느껴질 때 차선 변경을 합니다.
초보일 때는 아직 차간 거리에 대한 감도 없어서 무리해서 차선 변경을 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2. 빈 차선 같아도 깜빡이 넣고 천천히 차선 변경
운전에 능숙해도 사각지역이 있지만 초보시절에는 특히나 내가 미처 보지 못한 사각지역이 있기에 더 조심을 해야 합니다. 반드시 깜빡이를 넣고 차선을 바꾸겠다는 신호를 준 다음에 확 틀어서 변경하는 것이 아닌 차선을 조금씩 밟으면서 넘어간다는 감각으로 천천히 차선 변경을 시도합니다.
천천히 들어가야 내가 미처 보지 못한 차가 피해주거나 클랙슨으로 나에게 경고를 해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고속도로 같이 속도를 내는 곳에서 급하게 차선을 변경하려다가 사고가 나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더 중요합니다.
3. 차선 변경할 타이밍을 놓쳤으면 그냥 직진하자
초보때는 네비게이션이 안내에 따라서 무리하게 차선을 변경하려고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조금 늦더라도, 조금 돌아가더라도 길은 다 연결이 되어 있기에 내가 차선 변경할 타이밍을 놓치더라도 새로운 길을 안내해줍니다.
급하게 차선을 변경하려면 조급한 마음에 신경을 못써 부주의로 사고가 일어날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이러한 경험으로 도로의 흐름도 자연히 알게 되고 미리미리 차선을 바꾸며 준비하는 습관도 들일 수 있게 됩니다.
조금 일찍가려다가 사고가 나면 오히려 시간과 금전적으로 엄청난 손해가 생기게 되니 꼭 명심하세요.
4. 정차 중에 도로에 합류하는 상황
운전을 하다보면 정차 중에 도로에 합류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됩니다. 내가 주행 중인 차선에서는 앞차들이 그냥 멈춰있는 상황이고 내 옆의 차선은 쌩쌩 달리고 있는 상황
이런 상황에서는 괜히 마음이 조급해져서 옆으로 비집고 들어가고 싶은데 절대 들어가서는 안됩니다.
옆 차선에서는 내가 들어갈 상황에 대해서 인지하지 못한 상황에 내가 갑자기 들어가면 상대방은 당황을 하거나 피할 수 없는 상황이 될 수 있습니다.
사이드 미러에서 옆 차선의 차가 멀리 있어 보여도 상대방은 달리고 있는 상태이고 나는 정차 중에서 들어가니 속도의 차이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만약 변경을 해야한다면 사이드 미러에서 차가 완전히 없는 것을 확인하고 들어갑니다.
운전할 때는 항상 여유를 가지고 하셔야 합니다. 조급할 때 사고도 발생합니다.
5. 커브에서 차선 변경 때는 무조건 요주의
커브 자체가 사이드 미러에서 벗어나는 사각지역이 더 많아집니다. 그래서 미러만 믿고 성급하게 차선을 바꾸다가는 사고가 나기 쉽습니다.
6. 자동차사고 과실비율 분쟁해결 정보 포털
자동차사고 과실비율 분쟁심의위원회
accident.knia.or.kr
위의 링크는 자동차사고 과실비율 분쟁심의위원회입니다.
아직도 과거의 기준이나 경험으로 주행 중의 사고 과실 비율을 따지시는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위의 사이트를 참고하시면 사고 시 누가 가해자이고, 누가 피해자 인지나 과실에 대해서 어떻게 판단을 하는지 등 기본적인 기준을 잡는 것에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보험사 직원과 경찰의 말만 믿지 마시고 법과 판례 등도 보시길 바라요.